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은 전세계약 기간이 끝났는데도 임대인(집주인)이 임차인(세입자)에게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할 경우, 보증기관(예를 들어 HUG 주택도시보증공사)이 대신 임차인에게 보증금을 지급해주는 제도예요.
주요 보증기관으로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한국주택금융공사(HF), SGI서울보증보험이 있는데, 가장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HUG를 중심으로 알아봅니다. 다른 기관들도 큰 틀에서는 비슷해요.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조건 핵심 체크
나(임차인)
■ 계약서상 정식 세입자 (개인/법인/외국인도 가능해요)
■ 필수 3종 세트 : 해당 주택에 전입신고하고 확정일자 받고 실거주(점유) 완료하고 유지해야 해요
대상 주택
■ 아파트, 다세대/연립, 단독/다가구, 주거용 오피스텔 등 대부분 주거용 주택이 해당돼요
■ 단, 위반건축물은 안돼요 (건축물대장 확인)
■ 주거용 오피스텔은 계약서 등에 '주거용' 명시 필수
보증금액
■ HUG/HF 기준 : 수도권 7억 이하 / 그 외 지역 5억 이하
■ SGI : 아파트 보증금 제한 없어요 / 그 외 주택은 10억 원 이내여야 해요
전세계약
■ 계약 기간 1년 이상
■ 공인중개사 통해 체결한 계약서 (단, 갱신 시 예외 가능)
■ 매우 중요!
계약서에 "전세보증금 반환채권 양도 또는 담보 제공 금지" 특약이 없어야 해요 (계약서에 이런 문구 있으면 가입이 불가능하니 계약 시 꼭 확인)
![]() |
![]() |
![]() |
가장 중요한 조건(부채 비율)
■ HUG 허그 기준 : 일반적으로 (선순위 채권 + 전세보증금) ≤ (주택가격 × 90%)
예를 들어,
주택가격이 2억 원이고
선순위 채권이 4천만 원이라면.
전세보증금은 1억 4천만 원 이하여야 가입 가능해요
→선순위 채권이란 : 즉, 만약 집이 경매 등으로 넘어갔을 때 내 전세보증금보다 먼저 변제받을 권리가 있는 빚이에요.
등기부등본 을구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주택 가격 : 아파트는 KB시세나 한국부동산원 시세 우선 적용하고, 다세대 연립 등은 공시가격 등을 기준으로 해요.
특히 다세대, 다가구 등은 주택가격 산정이 좀 더 복잡하고 흔히 공시가격의 126% 같은 기준이 적용되기도 해요
■ 등기부등본이 깨끗해야 해요 (압류, 가압류, 경매 등 없어야 합니다) 그리고 주택과 토지 모두 임대인 소유여야 해요
신청기한
타이밍이 중요해요. 정해진 기간 내에 신청해야 보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규 계약
잔급 지급일과 전입신고일 중 늦은 날로부터 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까지 (예를 들어 2년 계약이면 1년 되기 전에 신청해야 합니다.)
갱신 계약
갱신된 계약 기간의 절반이 지나기 전까지 신청해야 해요.
결론
잔금 치르고 이사/전입신고 후 바로 신청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좋아요
신청 방법
방문 신청
HUG 허그 지사 또는 위탁 은행(신한, 국민, 우리, 하나, 기업, 농협, 수협 등)에 직접 방문해서 신청 ☞ HUG 지사/센터 찾기
모바일/온라인 신청
■ 네이버 부동산 > 금융상품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카카오페이 > 간편보험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 토스 > 전체 > 부동산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위 경로에서도 조건 입력 후 가입 가능 여부를 사전 체크할 수 있어요
■ HUG 허그 자체 앱인 '안심전세App' 또는 모바일 HUG를 통해서도 신청
■ 모바일로 신청하면 보증료 할인 혜택 (예 : HUG 3%) 이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
제출 서류
■ 필수 서류 목록
신분증 사본
주민등록등본
확정일자 받은 전세계약서 사본
전세금 낸 증빙(이체 내역 등)
전입세대열람내역서 (행정복지센터 발급)
등기부등본
■ 추가 서류(해당하는 경우)
건축물대장
타 전세계약 확인서(다가구 등)
할인 증빙 서류 등
✔️서류는 보통 1개월 이내 발급분 필요, 신청 전 HUG문의가 가장 정확합니다. ☞ HUG 콜센터 ☎️ 1566-9009
비용은 얼마나 들까? (보험료 계산)
⭐️보증료 계산식: 보증료 = 보증금액 × 보증료율 × (전세계약기간 일수 / 365)⭐️
[HUG 보증료율]
기관 | 보증료율(2025년 기준) | 주요 특징 |
HUG | 연 0.097%~0.211% | 아파트 위험도별 차등, 2025년 대폭 조정 |
HF | 연 0.04%~0.18% | 우대 시 0.02%까지 LTV별 차등 |
SGI | 아파트 0.138% 기타 0.208% | 주택유형별 차등, LTV별 할인 가능 |
예를 들어 (HUG)
→전세보증금 2억 원 아파트, 계약기간 2년
→임대인 빚 + 내 전세금이 집값의 80% 이하 (부채비율 낮음)
→적정 요율(예시) 연 0.115%
→계산 2억 원 x 0.115% x 2년 = 460,000원 (2년간 총 보증료)
→월 부담(대략) 46만 원 ÷ 24개월 = 월 1만 9천원 정도
✔️할인 : 저소득/다자녀/신혼/청년 등 할인 가능, 모바일 신청/일시납 할인도 확인
신청 절차
■ 신청 가능 여부 확인
HUG 홈페이지에서 로그인 후 '보증신청'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선택 → 하단의 보증신청 가능 여부 확인'메뉴에서 직접 입력 가입 조건 확인 ☞ HUG홈페이지 바로가기
■ 보증 신청 : 준비된 서류로 방문 또는 모바일/온라인 신청
■ 보증 심사
■ 보증서 발급 : 심사를 통과하면 보증서가 발급됩니다. 발급된 보증서는 HUG홈페이지에서 직접 출력할 수 있어요
![]() |
![]() |
![]() |
중요 체크사항
■ 임대인 동의 : 2018년 이후 법이 바뀌어서 전세보증보험 가입에 임대인 동의는 필요 없어요
■ 임대인 통보 : 하지만 보증보험에 가입하면 그 사실이 집주인에게 통보돼요. 허락받을 필요는 없지만 미리 임대인에게 이야기해두는 것이 원만한 관계를 위해 좋을 수 있어요
■ 보증료 부담 : 임차인(세입자)가 보험료 전액을 부담해요. 다만 집주인이 등록임대사업자인 경우에는 법적으로 집주인이 75%, 세입자가 25%를 분담하게 되어 있어요
■ 계약서 특약 주의 : 전세계약서에 채권양도금지 특약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이 특약이 있으면 보증기관에 보증금 반환 권리를 넘길 수 없어서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해요.
계약 전에 "채권양도금지 특약" 문구가 있으면 수정을 요구하거나 다른 집을 알아보는 게 좋아요
![]() |
![]() |
![]() |
마치며
전세보증금반환보증보험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인데요. 가입조건이 조금 까다로워졌다고는 하지만 조건 꼼꼼히 확인해서 가입하길 바랍니다.
도움되는 글
전세보증보험 가입방법 알아보기
전세보증보험 가입조건과 서류를 확인하셨다면 이제 가장 중요한 가입방법과 절차에 대해 알아볼건데요. 전세보증보험이란, 전세 계약 종료 후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을때 보증기관(HU
tuttii.tistory.com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K 유심 보호 서비스 가입 신청 예방 방법 (0) | 2025.04.24 |
---|---|
임차권등기명령 신청방법 서류 기간 비용 (0) | 2025.04.24 |
전세 보증보험 보험료 계산 알아보기 (0) | 2025.04.22 |
전세보증보험 가입방법 알아보기 (1) | 2025.04.22 |
전세보증보험 가입조건 알아보기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