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정보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tuttii 2025. 5. 3. 09:54
반응형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흔히 개인연금저축이라고 부르는 상품에는 두 가지가 있어요. 하나는 소득과 무관하게 누구나 가입 가능한 연금저축이고, 다른 하나는 소득이 있는 분들이 가입하여 더 높은 세액공제 한도를 적용받을 수 있는 개인형 퇴직연금 irp 인데요.

 

개인연금저축이라는 말은 종종 연금저축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지만 넓게는 이 두 가지 상품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어요. 지금부터는 연금저축과 irp의 구체적인 차이점을 자세히 볼께요.

 

오늘은 연금저축과 관련 핵심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나에게 맞는 최적의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자세히 알아볼께요.

 

연금저축 vs IRP

 

우리가 보통 '개인연금'이라고 부르는 것 중, 나라에서 세금 혜택(세액공제)을 주는 대표적인 상품이 바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 인데요.

 

둘 다 노후 자금을 불리면서 연말정산 때 세금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 기특한 상품들이지만

 

특징이 달라서 나에게 맞는 걸 고르는 게 중요해요

 

구분 연금저축 irp 개인형 퇴직연금
가입 자격 누구나 OK 소득 있어야 OK
세액공제 한도 연 최대 600만 원 연 최대 900만 원(연금저축 포함 통합)
위험자산 투자 제한 없음(펀드 기준) 70% 제한 있음
중도 인충 가능 (그러나 세금 폭탄) 원칙적 불가(법정 사유 외엔 매우 어려움)

 

 

연금저축 : 세액공제의 기본템 🌱

가장 기본적이고 문턱이 낮은 세제혜택 연금 상품이라고 생각하면 쉬워요

 

 

가입 자격 & 💰 납입 한도

 대한민국 국민 누구나! 소득 없어도 OK (주부, 학생, 프리랜서 다 가능) 해요. 

 연간 최대 1,800만 원까지 자유롭게 납입할 수 있어요 (단, 이건 irp 납입액까지 함친 총 한도예요)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 세액공제 한도 (핵심)

납입액 중 연 최대 600만 원까지 세금 돌려받기 대상

 

 

💸 세액공제율

돌려받는 세금 비율은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총 급여 5,500만 원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16.5% 지방소득세 포함 최대 600만 원 납입 시 99만원을 환급받으실 수 있어요.

 

 그 이상 👉 13.2%(지방소득세 포함)가 적용 (최대 79만 2천원 환급)

 

 

운용 방법

 연금저축펀드(증권사) : 공격 투자 가능 (펀드, ETF 등 원금 손실 가능성 O, 위험자산 투자 한도 없음!) 🔥

 

 연금저축보험(보험사) : 안정 추구 (공시이율, 원금보장형 상품 많아요) 🛡️

 

 

수령 시점 및 방법

 

만 55세 이후 최소 5년 이상 연금으로 수령해야 세제 혜택을 제대로 누릴 수 있어요

 

 

연금 받을때 세금

나이에 따라 3.3% ~ 5.5% (저율 과세)

단, 연 1,500만 원 넘으면 종합과세 or 16.5% 분리과세 중 선택할 수 있어요

 

📌 물론,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부분은 과세 대상이 아니에요. 비과세! 

 

 

중도 해지

중간에 깨면?

가급적 피하시는 것이 좋아요

세금 혜택 받은 거와 이자까지 해서 16.5% 기타소득세를 내야 해요.

 

즉, 받았던 세금 혜택을 다시 반납하고 추가적인 불이익까지 생길 수 있으니 신중해야 합니다.

 

 

 

irp (개인형 퇴직연금) : 세액공제 끝판왕 👑

퇴직금을 모아 노후까지 잘 굴리거나, 추가로 돈을 넣어서 세액공제 더 받고 싶은 사람에게 유리해요

 

 

가입 자격 & 납입 한도

💼 연금저축과 달리 소득이 있는 분들! (근로자, 자영업자, 공무원 등) 또는 퇴직금을 수령하신 분들만 가입할 수 있어요. 

 

즉, 가입 시 소득 증빙이 필요할 수 있어요.

 

💰 납입 한도는 연금저축과 합쳐서 연간 최대 1,8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세액공제 한도

irp는 연금저축보다 세액공제 한도가 더 높은데요. 연간 최대 9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900만 원은 연금저축 납입액을 포함한 통합 한도라는 것이에요.

 

 팁🍯 : 연금저축 600만 원 + irp 300만 원 = 총 900만 원 공제 가능

 팁🍯 : irp에만 900만 원 넣어도 총 900만 원 공제 가능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세액공제율

연금저축과 동일하게 소득에 따라 16.5% 또는 13.2%가 적용되는데요. 하지만 한도가 900만 원으로 높기 때문에 최대 환급액도 더 커지죠 (최대 148.5만 원 또는 118.8만 원 환급 가능)

 

총 급여 5.500만 원 (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 16.5% (최대 148.5만 원 환급)

 

그 이상  👉 13.2% (최대 118.8만 원 환급)

 

 

운용 방법

예금, 적금, 펀드. ETF, 리츠 등 다양하게 운용할 수 있어요. 선택의 폭이 넓어요

 

⚠️ 단, 중요한 제약 : 주식 같은 위험자산 투자는 총 금액의 70%까지만 가능! (연금저축펀드와의 큰 차이점)

 

 

수령 시점과 방법

연금저축과 동일하게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합니다

 

 

연금 받을 때 과세

연금 수령 시 과세 방식도 연금저축과 동일해요 (3.3% ~5.5% 퇴직금 원금은 세금 계산법이 좀 달라요)

 

 

중도 해지

사실상 불가능해요 🚫

법에서 정한 아주 특별한 사유(집 사기(무주택자), 6개월 이상 요양 등) 아니면 중도인출 안 돼요! 

 

그만큼 노후 자금으로 묶어두는 성격이 강하니, 자금 유동성을 꼭 고려하셔야 합니다.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개인연금저축과 연금저축의 차이 비교 2025

 

마치며

연금저축과 irp 개인형 퇴직연금 차이를 확인하면서 나의 상황과 목표에 맞춰서 잘 선택하고 조합해서 든든한 노후 준비와 절세 전략, 다 잡으시길 바랍니다.

 

 

 

도움 되는 글

 

irp계좌 개설 방법

퇴직금, 연말정산, 노후 준비까지 한 번에 챙길 수 있는 irp계좌, 요즘은 퇴직금이 300만 원을 넘으면 무조건 irp계좌로 받아야 하고, 연금저축과 함께 세액공제까지 받을 수 있어서 직장인, 자영업

tuttii.tistory.com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혜택

노후 준비와 절세,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하고자 하시는 분들께 연금저축펀드는 매력적인 선택지인데요. 특히 2025년 연금저축펀드 세액공제 기준을 잘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tuttii.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