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사업자 하면서 제일 머리 아팠던 부분이 건강보험료 같은데요. 생각보다 정말 많이 나오는 것 같고 줄일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보았던 거 같습니다. 오늘은 개인사업자 건강보험료의 부과 방식, 계산방법, 정산 그리고 절세까지 상세히 알아봅니다.
개인사업자의 건강보험 가입 유형
일단 개인사업자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뉘어요.
혼자 일하는 사업자,
누군가를 고용한 사업자(대표자도 직장가입자로 분류돼요)
이게 왜 중요하냐면, 건강보험료 계산 방식이 완전히 달라지거든요
혼자 일하는 사업자는 '지역가입자'로 분류돼죠. 처음 프리랜서로 시작했을때가 이런 경우인데요. 이때는 내 소득뿐만 아니라 집이나 차까지 다 따져서 보험료가 나옵니다.
반면에 직원을 한 명이라도 고용했다면 '직장가입자'가 돼요. 이때는 월급 기준으로 보험료가 계산이 됩니다.
지역가입자의 건강보험료 계산 방식
지역가입자 건강보험료, 왜 이렇게 많이 나오는 거지?
혼자 일하는 개인사업자라면 '지역가입자'로 건강보험료를 내게 되는데요. 이게 좀 복잡한게 소득뿐만 아니라 집, 차, 월세까지 다 건강보험료 계산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지역가입자는 소득만 가지고 계산하면 안됩니다.
부과 요소
소득 :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등
재산 : 주택, 전월세 등
자동차 : 차량 소유 여부 및 종류
생활 수준 및 경제활동 참가율
![]() |
![]() |
![]() |
계산 공식
건강보험료 = 부과점수 x 점수당 금액(208.4원)
(현재 점수당 금액은 208.4원)
예를 들어, 부과점수가 600점이라면
600점 x 208.4 = 125.040원
[부과점수 예시]
소득 : 월 200만 원 정도면 약 200~300점
재산 : 전세 5천만 원 정도면 약 100~200점
자동차 : 중형차 한 대면 약 100~200점
이렇게 소득, 재산, 자동차 등에 따라 부과점수가 결정되고 그 점수에 따라 건강보험료가 나오는데요.
🙋🏻♂️🙋🏻♂️
재산이나 차가 있다면, 가족 중 직장인이 있을 경우 그쪽 피부양자로 등록하는 게 훨씬 유리합니다.
직장가입자의 건강보험 계산 방식
직원을 고용했다면
직원을 고용했다면 '직장가입자'로 분류돼요. 이때는 계산법이 좀 달라요
월급에다가 현재 건강보험료율 7.09%(2025년 기준)을 곱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월급이 300만 원이면 건강보험료는 212,700원이 되는데요. 그런데 이 중 반은 회사, 반은 직원이 내니 실제로 106,350원이 내 부담이 돼죠.
여기서 중요한 건, 사업주인 나는 직원 중 가장 높은 급여를 받는 사람보다 적게 신고할 수 없어요. 그리고 사업소득이나 임대소득 같은 추가 소득이 연간 2천만 원을 넘으면 소득월액 보험료라는 것을 냅니다. 이것도 7.09%의 요율이 적용돼요
🙋🏻♂️🙋🏻♂️
직원 고용 시 4대보험 부담이 크다면 '두루누리 사회보험료 지원사업'을 찾아보세요. 10인 미만 사업장은 보험료의 최대 90%까지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정산 과정
건강보험료는 전년도 소득 기준으로 계산돼죠.
그러니까 올해 소득이 줄어도 (이게 충격😩) 작년에 많이 벌었으면 보험료가 많이 나옵니다.
정산 시기
매년 5월(성실신고자는 6월)에 전년도 소득을 신고한 후 정산됩니다.
🙋🏻♂️🙋🏻♂️
수입이 좋은 해가 있었다면, 다음 해 5월(정산 시기)에 보험료가 확 오를 수 있으니 미리 돈을 좀 모아두는 게 좋고, 아니면 분할납부 신청도 가능합니다. 건강보험공단에 문의해보세요!
![]() |
![]() |
![]() |
보험료 줄이는 팁
지역가입자라면
■ 경감 대상 확인 : 장애인, 한부모가정, 65세 이상 어르신들은 보험료 경감 혜택이 있습니다. 해당되면 꼭 신청해보세요
■ 건강보험공단 모의 계산기를 활용해 예상 보험료를 확인하고 조정할 수 있어요
직장가입자라면
■ 대표자의 보수월액을 적절히 신고하여 불필요한 과다 납부를 방지합니다
■ 추가 소득이 연 2천만 원 넘지 않게 관리하면 소득월액 보험료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
1인 자영업자는 고용보험료 지원 사업을 통해 최대 90%까지 지원받을 수 있어요. 해당 혜택은 지자체별로 상이하므로 확인 후 신청하세요.
![]() |
![]() |
![]() |
주요 요점 정리
구분 | 지역가입자 | 직장가입자 |
가입 기준 | 근로자 없음 | 근로자 고용 |
보험료 산정 기준 | 소득, 재산, 자동차 등 | 보수월액 및 추가 소득 |
주요 공식 | 부과점수 x 점수당 금액 | 보수월액 x 보험료율 |
절세 방법 | 재산 자동차 축소 | 보수 신고 조정 및 추가 소득 관리 |
지원 제도 | 경감률 적용 가능 | 고용보험 지원 사업 활용 가능 |
마치며
처음엔 복잡해 보이지만, 어떤 유형인지 파악하고 계산법만 알면 충분히 관리할 수 있어요. 그리고 정부 지원제도나 경감 혜택도 적극 활용하면 부담을 많이 줄일 수 있으니 나에게 해당하는 혜택은 없는지 알아보세요.
그리고 납부가 어렵다면 건강보험공단에 분할납부 신청을 해보세요. 최대 24개월까지 나눠서 낼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공단 대표전화 ☎️ 1577-1000
도움되는 글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공제항목 알아보기
개인사업자가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공제항목은 크게 소득공제와 세액공제롤 나뉘어요. 이 두 가지를 잘 활용하면 세금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개인사업자 종
tuttii.tistory.com
종합소득세 신고대상 알아보기
종합소득세는 개인이 1년 동안 벌어들인 모든 소득을 합산해서 부과하는 세금인데요. 근로소득, 사업소득, 이자소득 배당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 등 다양한 소득을 포함해요. 매년 5월 1일부
tuttii.tistory.com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 과세표준 세율 절세 팁 (0) | 2025.04.12 |
---|---|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알아보기 (0) | 2025.04.12 |
개인사업자 종합소득세 공제항목 알아보기 (0) | 2025.04.11 |
개인사업자 부가세신고방법 알아보기 (0) | 2025.04.11 |
개인사업자 실업급여 수급조건 알아보기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