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생활 속 돈 버는 꿀팁과 일상에 숨겨진 재테크 보물을 찾아드리는 뚜띠입니다 :)
2025년부터 다자녀 혜택 기준이 기존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되면서 더 많은 가정이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되었는데요.
오늘은 다자녀 가구 혜택에 대한 크게 전반적인 내용들을 총정리해서 한눈에 보실수 있도록 정리해 보았습니다. 보시고 아직 신청 안하신 부분이 있다면 참고하셔서 신청해 보세요!

2025년 첫만남 이용권은 무엇인지
첫만남 이용권은 아이가 태어나면 주는 정부 지원금인데요. 현금으로 지원되지 않고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지급이 됩니다.
첫째 아이 출산 시 200만 원, 둘째 이상 자녀 출산 시 300만 원으로 상향되었고, 쌍둥이는 첫째 200만 원, 둘째 300만 원으로 총 500만 원이 지급됩니다.
항목 | 내용 |
지원 대상 | |
지원 금액 |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
사용 방법 | 국민행복카드와 연계하여 사용 |
사용 가능 품목 | 의료지, 육아용품, 산후조리원 비용, 식료품, 쿠팡, 컬리 등 |
신청 기한 |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 |
신청 방법 | 온라인 복지로 또는 정부24, 행정복지센터 |
첫만남이용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2025 다자녀 출산혜택 첫만남이용권 총정리를 참고해 주세요
아이돌봄 서비스
아이돌봄 서비스가 확대되었는데요. 만 12세 이하 자녀를 둔 가구는 우선 이용 가능하며,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는 본인부담금의 추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국민행복카드를 활용해 신청 절차를 진행하고 각종 추가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행정복지센터나 포털에서 세부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항목 | 내용 |
대상 | 2자녀 이상 다자녀 가구, 맞벌이,한부모,다문화 가정 등 |
우선권 조건 | 12세 미만 자녀 셋 이상 또는 36개월 자녀 둘 이상 |
정부 지원율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대상, 본인 부담금의 최대 30% 지원 |
추가할인혜택 | 다자녀 가구 본인 부담금 10% 추가 할인 |
주요 서비스 | 영아종일제(월 최대 200시간), 시간제(연 최대 960시간) |
신청 절차 | 국민행복카드 발급 → 포털 가입 → 소득 재판정 → 정회원 승인 후 사용 |
비용 예시(시간당) | 기본 요금: 약 12,180원 / 정부 지원 후 본인 부담금:약 8,526원 |
유의사항 | 소득 변경시 신고 필수, 최소시 수수료 부과 |
또한 2025년 다자녀 국가장학금 지원이 강화되어 3자녀 이상 가구를 대상으로 하며, 소득 구간과 자녀 순서에 따라 등록금 필수경비를 차등 지원합니다.
자동차 취득세 감면
기존 3자녀 이상 가구에만 적용되던 자동차 취득세 면제 혜택이 2자녀 가구에도 50% 감면으로 확대되었어요. 3자녀 이상 가구는 여전히 전액 면제됩니다.
자동차 취득세 감면 조건은 18세 미만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로, 감면 신청은 1대의 차량에 한정합니다.
교육비 지원
유치원 및 초중고 교육비 지원이 강화되어, 방과 후 돌봄교실 비용 및 학습 준비물 지원이 확대되요.
유치원 교육비는 매월 최대 10만 원, 초등학교 학비는 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방과 후 교실 비용 지원은 월 최대 5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셋째 이상 자녀의 대학 등록금은 전액 국가장학금으로 지원됩니다. 이 외에도 지역별로 추각적인 교육비 혜택잉 있을 수 있어요.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주거 지원 혜택
2025년 다자녀 가구를 위한 주거 지원은 크게 공공임대 주택 우선 공급, 전세자금 대출 지원, 신생아 특례대출 그리고 주택 청약 특별공급 등으로 구성됩니다.
먼저, 다자녀 가구는 공공임대주택 입주 시 우선권을 부여 받으며, 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가구는 청약에서 1순위 자격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신생아 특례대출의 소득 요건이 완화되어 연 소득 2억 5천만 원 이하 가구도 이용 가능합니다
세금 감면
2024년 다자녀 가구를 위한 세금 감면 혜택은 다음과 같아요
■ 자녀 세액공제
8세 이상 자녀 : 자녀 1명당 연 15만 원 공제
3명 이상 자녀 : 2명을 초과하는 자녀 1명당 추가로 연 30만 원 공제
■ 출산 입양 공제
첫째 연 30만 원
둘째 연 50만 원
셋째 이상 연 70만 원
■ 기타 세금 감면
종합소득세 신고 시 기본공제대상 자녀 수에 따라 추가 공제 가능
전기차 구매 보조금
다자녀 가구가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자녀 수에 따라 추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요
□ 2자녀 : 100만 원, 3자녀 : 200만 원
교통비 감면
KTX 와 SRT 등 대중교통 요금이 기존 최대 30~40%에서 2자녀 가구는 30%, 3자녀 이상은 최대 50% 할인으로 확대되었습니다.
■ KTX 및 SRT 할인
□ 2자녀 이상 가구 : 어른 운임의 30% 할인
□ 3자녀 이상 가구 : 어른 운임의 50% 할인
가족 중 최소 3명 이상(어른 1명 포함)이 함께 이용 시 할인이 적용됩니다.
K패스 도입
대중교통 이용 시 환급 혜택을 제공하는 K패스 가 신설되어 할인율이 증가해요(2자녀:30%, 3자녀:최대50%)
그 외에도 월 최대 전기요금 16,000원과 도시가스요금, 난방비 등 공공요금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또한 다둥이행복카드를 통해 영화관, 놀이공원 등 문화시설 이용료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다자녀 가구는 국립자연휴양림 이용 시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요. '숲나들e' 예약을 통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별로 세부 사항이 다를 수 있으니 추가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고 적극 활용해보세요!
도움되는 글
자동차 취득세 2자녀 다자녀 감면 차종 취득세율 총정리
차를 구매할 계획이 있는 2자녀 이상 가정이라면,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최대 70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있대요. 가족 여행한 번 다녀올 수도 있고요, 3자녀 이상이면 140만원까지 감면받을 수
tuttii.tistory.com
2025 산후도우미 정부지원 신청 지원대상, 금액, 기간 총정리
2025 산후도우미 정부지원은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덜기 위한 제도인데요. 이 제원은 전문 건강관리사가 출산 가정을 방문하여 신생아 돌봄을 돕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지원 대상은 소득
tuttii.tistory.com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부모가정 자격조건 알아보기 (0) | 2025.02.28 |
---|---|
해고예고수당 계산 신청방법 조건 주의점 알아보기 (0) | 2025.02.27 |
첫만남이용권 사용처 알아보기 (1) | 2025.02.26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2.75%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 (1) | 2025.02.25 |
주휴수당 지급조건 계산 알아보기 (0)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