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첫만남이용권은 아이가 태어나면 초기 양육비를 지원하기 위해 제공되며 현금이 아닌 바우처 형태로 지원되는데요. 이 바우처는 국민행복카드와 연계해서 사용됩니다.
첫째 아이 출산하면 200만 원, 둘째 이상 아이를 출산하면 300만 원으로 올라가고, 쌍둥이는 첫째 200만 원, 둘째 300만 원으로 총 500 만 원이 지급됩니다.
오늘은 2025년 첫만남이용권 사용처, 신청방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알려드립니다.
2025년 첫만남이용권이란
첫만남이용권은 신생아 가정의 초기 양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정부가 제공하는 바우처인데요.
첫만남이용권은 국민행복카드와 연계해 사용되며 다양한 장소에서 쉽게 결제할 수 있어요. 온라인 쇼핑몰에서도 사용 가능하고 육아에 필요한 물품을 구매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사용하지 않는 포인트는 사용 종료일 이후 자동 소멸이 됩니다.
![]() |
![]() |
지원 금액
첫째 아이가 태어나면 200만 원을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이 금액은 기저귀나 분유 같은 육아용품부터 병원비, 산후조리비까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둘째 아이 이상이라면 더 넉넉하게 300만 원을 지원 받아요.
이 지원금은 현금으로 지원되지 않지만 국민행복카드 포인트로 충전되어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 예외적으로 현금 지급)
사용처
국민행복카드를 통해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카드 발급 후 정부지원금으로 결재 가능한 유통점에서 일반 카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곳은 병원, 약국, 유아용품점, 산후조리원, 마트 증이고 유흥업소나 사생성 업종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미 카드를 보유하고 있다면 기존 카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용 가능한 곳
■ 육아용품: 기저귀, 분유, 유모차 등 아동 관련 용품
■ 의료비 : 병원, 약국
■ 산후조리원 : 산후조라 비용 일부 결재 가능
■ 식료품점 및 온라인 쇼핑몰로 자주 이용하는 쿠팡이나 컬리에서도 사용 가능해요
하지만 사용하면 안되는 곳도 있습니다. 사행성 업종이나 레저업종, 성인용품점이나 면세점 그리고 상품권 구매 및 선불카드 충전은 안됩니다.
사용 기한
아이 출생일로부터 2년 동안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기한 종료 후 자동 소멸됩니다.
첫만남이용권 잔액 확인
국민행복카드를 발급받은 카드사의 앱을 설치하고 바우처 잔액조회 메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는 카드사 앱에서 카카오톡 알림 서비스를 활성화하면 이용권 사용 시마다 잔액 변동 내역을 실시간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 필요 서류
2가지 신청방법이 있습니다
■ 행복복지센터에 방문 신청하는 방법
■ 온라인 복지로 http://www.bokjiro필.go.kr 또는 정부24 http://www.gov.kr 신청 가능
사용 기간
사용 기간은 아이 출생일로부터 2년간 사용할 수가 있어요(2024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아동부터 적용)
첫만남이용권 정리 요약
항목 | 내용 |
지원 금액 | 첫째 200만 원, 둘째 이상 300만 원 |
사용 방법 | 국민행복카드와 연계하여 사용 |
신청 방법 | 복지로, 정부24 / 행복주민센터 |
필요 서류 | 출생신고서, 신분증, 국민행복카드 발급 신청서 |
사용 기간 | 아동 출생일로부터 2년간 사용 가능 |
사용처 | 온라인 쇼핑, 마트, 주유수, 산후조리원 등 |
사용 시 주의할 점
■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반드시 신청해야 합니다. 신청 기한을 넘기면 지원금을 받을 수 없어요
■ 지원금은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사용해야 하고 미사용 금액은 자동으로 소멸됩니다
■ 첫만남이용권은 국민행복카드에 바우처 포인트 형태로 지급돼요. 카드가 없으면 먼저 발급 받으세요.
■ 첫만남이용권으로 결재한 금액은 의료비 세액공제대상에서 제외되는데요.
→예를 들어 산후조리원 비용을 전액 바우처로 결제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으니 일부는 신용카드나 현금으로 결재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마치며
첫만남이용권은 신청 및 사용 기한을 놓치거나 잘못된 곳에서 사용하면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할 수 있으미 주의사항들을 잘 보시고 계획적으로 활용하시길 바랍니다!
도움되는 글
2025년 K패스 다자녀 혜택 50% 환급 총정리
2025년부터 k패스의 혜택이 확대되어 다자녀 가구에 대한 지원이 강화되었습니다. 주요 변경사항과 이용 방법을 정리해드리겠습니다 K패스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월 최대 6
tuttii.tistory.com
2025 부모급여 소급 중복수령 출생 60일 내 반드시 해야 할 것
부모급여는 2023년에 새롭게 도입된 정책으로 출산 가정에 현금과 복지서비스를 결합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도입한 지원 제도인데요. 만 0세에서 1세 아동을 둔 가정에 매달 일정 금액
tuttii.tistory.com
'돈 되는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고예고수당 계산 신청방법 조건 주의점 알아보기 (0) | 2025.02.27 |
---|---|
다자녀 혜택 총정리 (1) | 2025.02.26 |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2.75% 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 (1) | 2025.02.25 |
주휴수당 지급조건 계산 알아보기 (0) | 2025.02.24 |
상속세 자녀공제, 면제한도액 공제세율 계산 쉽게 (0) | 2025.02.24 |